[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경상남도 거제시 ‘동백섬 지심도 러브스토리’로 유명한 현대문학의 거장 윤후명 소설가 겸 시인의 문학그림展 ‘팔색조의 섬’ 전시회가 거제도 일운면 아트 맛집 ‘갤러리 예술섬’에서 갤러리예술섬 주최, 예술법인 가이아 주관, 삼탄아트마인 후원으로 개최된다. 이번 윤후명 문학그림전 ‘팔색조의 섬’은 2025년 2월 19일부터 4월 6일까지 갤러리예술섬에서 전시하고, 4월 중순부터 한달간 부산 진구 서면교차로 갤러리범향에서 전시 예정이다. 특히 경남 마산(현 창원)과 부산에서 고교, 대학을 졸업했고, 부울경 연고 연예인과 기획자들의 모임 ‘갈매기의 꿈(약칭 갈꿈회)’ 전 회장인 이재용 영화배우가 전시 홍보대사를 맡았다. 텍스트 문학과 비주얼 이미지 미술의 통섭, 융합 기획전에는 현대미술 현장에서 독창적인 작가세계와 시대정신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원로, 중견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고석원 부산대 교수, 한중 아트프로젝트팀 사야, 위세복 조각가, 윤후명 작가, 이이남 미디어 아티스트, 이인 한국화가, 이재효 조각가, 장태묵 계명대 교수, 추니박 한국화가, 한생곤 서양화가, 황재형 원로화가 그들이다. 윤후명 작가와 거제시는 인연이 깊다. 그는 198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영화 ‘검은 수녀들’이 누적 관객수 160만 관객을 기록하며 손익분기점을 돌파했다. 검은 수녀들’은 강력한 악령에 사로잡힌 소년을 구하기 위해 금지된 의식에 나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누적 관객수 1,600,315명을 기록하며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가운데, 관객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은 사진을 공개해 눈길을 끈다. 영화를 완성한 ‘검은 수녀들’의 주역 배우들이 손하트를 만들며 애정 어린 인사를 남겨 관객들의 관심에 화답했다. 또한, 160개국 선판매 쾌거를 이루며 전 세계 관객들을 만나고 있어 글로벌 흥행도 주목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현지 개봉 한국 영화 중 최고 오프닝 성적을 거둔 데 이어 역대 인도네시아에서 개봉한 한국 영화 중 현재까지 누적 관객수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개봉한 필리핀에서도 개봉 이후 2주 연속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2월 6 일(목) 호주, 뉴질랜드, 태국, 라오스, 2월 7일(금) 북미, 미얀마, 2월 13일(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2월 21일(금) 베트남 등 세계 각지에서 개봉해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손유정 오보에 독주회(You Joung Sohn Oboe Recital)가 오는 2월 24일(월) 오후 7시30분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다. 오보이스트 손유정은 미국 뉴잉글랜드 음악원 예비학교와 월넛힐 예술학교를 거쳐 맨하탄 음악대학에서 학사와 오케스트라과정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실기우수장학생으로 입학 및 졸업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손유정은 최근 KNN 방송국교향악단 및 심포니 송 오케스트라의 객원수석, 베르겐 필하모닉(Bergen Philharmonic), 송파구립 오케스트라, 앙상블 칸탄도 객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성남시립교향악단 및 뉴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객원수석으로 활동하는 동시에 경북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벤자민 고다르(Benjamin Godard, 1849-1895)는 프랑스 바이올린 연주자이며 작곡가로 오페라 조슬린(Jocelyn, 1881)이 알려진 대표작이다. 1892년 작 '스코트랜드 풍광들(Scènes écossaises, Op. 138)'은 3악장(I. Legende Pastorale, II. Serenade a Mabel, III Marche des Highlanders)으로 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바다와 원시림이 보존된 자연경관과 오염 없는 청정 지역인 섬은 현대인에게 마음의 고향이다. 2~3월에 절정인 동백꽃을 감상하기 좋은 지심도, 영화 ‘섬마을 선생’ 촬영지로 유명한 대이작도, 세계 중요 농업유산으로 지정된 구들장논으로 유명한 청산도 등을 소개한다. 붉은 꽃과 푸른 잎 어우러진 ‘동백섬’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서 동쪽으로 1.5킬로미터 해상에 위치한 지심도는 남해안 섬들 중 어느 곳보다 동백나무의 숫자나 수령이 월등하여 ‘동백섬’이란 이름이 잘 어울린다. 2~3월에 절정인 동백꽃을 감상하기 좋은 장소로, 섬 구석구석에 붉은 꽃과 푸른 잎이 어우러진 동백나무를 지천으로 만날 수 있다. 선착장에서 내려 동백나무터널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섬 안으로 들어설 수 있다. 하늘에서 바라 본 섬의 모양이 마음 심(心)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지심도는 면적이 0.338㎢, 해안선 길이는 3.5㎞의 작은 섬으로 장승포항에서 도선으로 약 15분 거리에 있으며 탐방 시간은 2시간 이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대이작도는 1967년 개봉한 영화 ‘섬마을 선생’ 촬영지로 유명하다. 이곳에 위치한 대이작항방파제등대는 해양수산부로부터 2월 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우리의 대표적인 무형유산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한국의 탈춤」의 홍보영상 ‘탈, 춤으로 잇다’를 2월 7일 오전 11시에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 웨이브(WAVVE)와 국가유산청 유튜브(https://www.youtube.com/@khs_pr *순차 공개)를 통해 공개한다. 「한국의 탈춤」은 춤, 노래, 연극을 아우르는 종합예술로, 현재에도 의미가 깊은 주제인 보편적 평등의 가치를 다루고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되어 2022년 11월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이번에 공개되는 영상은 자칫 지루하게 여겨지기 쉬운 우리 무형유산 탈춤을 국민 누구나 쉽게 접하고 그 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뛰어난 춤 실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춤꾼들이 여러 지역의 탈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무대에서 어떻게 풀어낼지 고민하고 노력하는 과정을 감각적인 화면과 흡인력 있는 음악을 배경으로 흥미롭게 풀어냈다. 엠넷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서 활약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이키는 ‘봉산탈춤(사자탈)’을, 그룹 SF9의 유태양은 ‘강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그릇론’을 펴냈다.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철학적 에세이 ‘그릇론’이 출간됐다. 권승우 저자는 사람의 성품과 성장 과정을 ‘그릇’에 비유하며 독자들에게 자기 성찰과 행복에 대한 깊은 사유를 제안한다. 권승우 저자는 평범한 직장인이자 가장으로서 다양한 봉사 활동을 실천해 온 인물이다. 이번 책을 통해 그는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만족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며, 진정한 행복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도자기를 빚는 과정에 빗대어 인간 성품의 형성과 성장을 설명하며,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 이러한 논의는 동서양의 철학적 사유와도 맞닿아 있다. 책은 유교 경전의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는 철학적 명제를 바탕으로,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깨닫고 성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실패와 결핍마저도 성장의 한 과정임을 깨닫고, 더 넓은 그릇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영감을 받을 수 있다. ‘그릇론’은 자기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신영호)은 정월대보름을 맞이하여 2월 12일(수) 오전 9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상설전시실 로비에서 부럼깨기를 체험하는 ‘2025년 정월대보름 맞이 어울마당’을 진행한다. 부럼깨기란 정월대보름 이른 아침에 날밤⬝호두⬝은행⬝잣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물어 먹으면서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2025년 정월대보름 맞이 어울마당’은 전시실 로비에서 제공하는 호두, 땅콩, 밤 등의 부럼 키트를 함께 깨보는 체험으로 진행된다.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며, 참여를 희망하는 관람객 및 지역민은 별도의 예약 없이 상설전시실 로비에서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부여박물관 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오는 12월, 사비백제시기 국보 4점을 단독 전시하는 <사비백제국보관>이 문을 연다. 국립부여박물관은 새로운 전시관 개관을 기념하여 분기별로 사비백제국보관 개관 기념 공연시리즈를 개최한다. 첫 번째 공연으로 봄날의 클래식 <지브리 콘서트>가 3월 15일(토) 오후 5시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 공연장에서 열린다. 공연에서는 윤승업 지휘자가 이끄는 군포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지브리 애니메이션 OST를 연주한다. 첼리스트 윤석우의 해설과 함께 바이올리니스트 김영기, 오보이스트 김예현, 소프라노 이한나가 출연해 더욱 풍성한 무대를 꾸민다. 특히, 공연에서는 이웃집 토토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추억의 지브리 애니메이션 속 명곡들을 오케스트라 연주로 만날 수 있다. 생생한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통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의 감동과 설렘을 다시 한번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연당일 예매자를 대상으로 특별한 이벤트가 진행된다. 국립부여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국보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을 찾고 인증하면 선착순으로 지브리 굿즈를 선물로 받을 수 있다. 공연 예매는 문화소외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전통 연희와 현대 물리학을 융합한 공연 ‘연희물리학 ver.1 ‘원’’이 관객들과의 만남을 위해 무대에 오른다. 이번 공연은 연희라는 전통예술이 물리학, 철학, 미학과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혁신적인 공연이다. 연희를 통한 신명 발산의 비밀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풀어내고, 그 안에서 관객들이 자연의 순환과 에너지의 흐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여정을 선사한다. 이를 통해 공연은 단순히 시각적, 신체적 경험을 넘어 관객들에게 존재의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깊은 사유의 장을 열어준다. ‘연희물리학 ver.1 ‘원’’은 물리학의 다양한 개념들, 특히 운동성과 에너지의 순환·빛의 파동·양자 얽힘·우주적 시공간의 존재 방식을 통해 연희에서 발산되는 신명(神明)의 비밀을 탐구하는 ‘상쇠’의 여정이다. 전통적인 연희의 리듬과 동작을 물리학의 원리로 풀어내며, 그 안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와 그 흐름을 과학적 시각으로 재구성한다. 연희자는 물리적 힘의 흐름을 자신의 몸으로 전달하며, 그 에너지는 공명처럼 관객과 연결되고 공연의 장면마다 새롭게 변환된다. 상쇠의 여정은 단순한 신명 발산을 넘어 물리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존재의 본질을 질문하는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은 2월 10일과 2월 17일 이틀간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http://www.youtube.com/gogungmuseum)를 통해서 유럽지역 한글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국립고궁박물관과 재외동포청이 함께 제작한 교육꾸러미의 활용 특강을 실시한다. 국가유산청과 재외동포청은 국가유산의 해외홍보와 재외동포 대상의 교육 강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24.11.1.)의 일환으로 왕실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꾸러미를 개발하여 유럽지역의 한글학교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개발을 마친 교육 꾸러미는 올해 3월 말까지 유럽지역의 각 한글학교에 배송될 예정이며, 이번 특강은 한글학교 교사들이 교육 꾸러미의 수업 대본과 활동지 및 체험 교구의 활용 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전문 강사의 교육으로 진행된다. 교육꾸러미는 조선시대 왕의 탄생 과정을 알아보고, 입체 퍼즐로 어보를 만들어보는 등의 체험을 해보는 ‘임금님의 성장일지’, 어린이 캐릭터 ‘수수남매’와 함께 창덕궁을 실감나게 체험해보는 ‘수수남매와 창덕궁 달빛 투어’, 왕실 가족들의 복식을 살펴보고, 놀이카드로 복식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한 방울의 탐험. 위스키 증류소와 나만의 술 이야기’를 펴냈다. 이 책은 위스키를 처음 접하는 사람부터 전문가까지 모두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됐다. 기본적인 위스키 테이스팅 방법, 라벨 읽는 법, 숙성 과정 등을 자세히 설명하며, 각국의 대표적인 위스키 종류와 생산 과정도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위스키가 단순한 술이 아닌 문화적 매개체로서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조명한다. 책의 첫 번째 파트에서는 위스키를 제대로 즐기기 위한 기초 지식을 소개한다. 위스키 테이스팅과 마시는 법, Dry와 Body의 개념 등 위스키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이 포함돼 있다. 특히 위스키 라벨에 쓰인 다양한 용어와 캐스크 종류에 대한 설명은 초보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위스키의 종류별 특징을 살펴본다. 스카치 위스키, 버번 위스키, 재패니즈 위스키 등 각 지역의 위스키가 어떻게 다른 풍미와 전통을 가지게 됐는지 설명한다. 또한 진, 보드카, 브랜디, 테킬라, 럼 등 다른 증류주들도 함께 다뤄 증류주의 세계를 폭넓게 탐험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세 번째 파트에서는 저자들이 직접 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유빈 귀국 플루트 독주회(Yubin Lee Flute Recital)가 오는 19일(수) 오후 7시30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열린다. 플루티스트 이유빈은 독일에 유학하여 프랑크푸르트 라디오심포니(hr Sinfonieorchester) 수석이자, 프랑크푸르트 음악대학교 교수인 제바스티안 비티버(Sebastian Wittiber)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UDK)에서는 플루티스트 안네트 폰 스타켈베르크(Anette von Stackelberg)와 마틴 글뤼크(Martin Glück)를 사사하며 학사과정, 동 대학원에서 최우수성적으로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국내에서는 플루티스트 신승환을 사사했다. 프랑스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멜라니 보니스(Mel Bonis, 1858-1937)의 '플루트 소나타(Flute Sonata in C sharp minor, Op. 64)'를 첫 무대로 장식한다. 작곡가 윤이상(Isang Yun, 1917-1995)의 '가락(Garak)'이 울려 퍼진다. 우리 전통음악이 일컫는 가락이 가늘고 길게 떨거나, 끝을 끌어 올리거나 내리는 플루트 숨결에 흘러나온 소리로 태어났다. 프랑스 바로크 음악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은 오는 2월 8일(토) 영등포아트홀 2025 신년음악회 ‘영화를 빛낸 클래식’을 개최한다. ‘영화를 빛낸 클래식’은 영등포아트홀의 기획공연 브랜드 ‘시리즈Q’의 2025 시즌 시작을 알리는 공연으로 많은 기대를 받으며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이번 공연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은 수많은 명작 영화 속 깊이를 더했던 클래식 명곡을 대한민국 최정상급 마에스트로 정치용을 필두로 45인조 오케스트라와 소프라노 정하은, 김지은 그리고 클라리넷 이소민의 협연으로 관객에게 특별한 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오프닝을 열어준 ‘모차르트 교향곡 25번 사단조 1악장’을 시작으로 영화 ‘파리넬리’에서 주인공의 감정선을 대변하는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 ‘리날도’ 중 ‘울게 하소서’, ‘인생은 아름다워’의 비극을 더해준 오펜바흐의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중 ‘뱃노래’ 이중창 등 다양한 영화에서 작품을 빛나게 만든 다양한 클래식 음악들로 고품격 클래식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관람 가능하며, 전석 2만원으로 인터파크 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다. 문화도시 영등포 및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