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13.1℃
  • 흐림강릉 11.8℃
  • 맑음서울 15.2℃
  • 흐림대전 17.0℃
  • 구름많음대구 16.6℃
  • 흐림울산 15.6℃
  • 구름많음광주 17.5℃
  • 안개부산 15.9℃
  • 맑음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4.6℃
  • 맑음강화 15.2℃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0℃
  • 구름많음경주시 13.9℃
  • 구름많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문화

출세주의 만연한 세태 꼬집기…연극 ‘국물 있사옵니다’

URL복사

[시사뉴스 이경숙 기자]국립극단의 연극 '국물 있사옵니다'는 근현대 희곡이 근사하고 세련될 수 있다는 걸 증명한다.

극작가 이근삼(1929~2003)1966년 발표한 작품이다. 상식대로 살고자 했던 평범한 샐러리맨 상범(常凡)의 세속적인 출세기다. 1960년대 후반 산업화에 따른 모순은 현재를 관통한다.

제목 '국물 있사옵니다''국물도 없다'의 비틀기다. 제철회사의 임시사원으로 취직한 상범은 뜻대로 되는 것이 없었다. 정직하게 살고자 하는 태도가 되레 그의 발목을 잡았다.

편법과 술수가 점철된 '새로운 상식', "자리를 양보하느니 발로 걷어차 길을 터야겠다"는 마음을 먹기 시작하자 그에게 국물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점차 새로운 상식으로 무장해 가는 상범은 섬뜩하도록 현대인의 모습을 닮았다. 양보, 이해, 관용의 미덕을 갖춘 이들이 오히려 바보라고 손가락질 당하는 시대. 이 정글에서 살아남기 위해 사람들은 '새 상식'을 넘어 상식을 벗어난 일들을 감행한다.

여기서 아련함이 심장을 지긋이 눌러온다. '국물 있사옵니다'가 현재까지 풍자하는 건 맞다. 하지만 1960~1970년대 물질만능주의와 출세주의 뒷면에는 그래도 인간의 얼굴이 있었다.

점차 성공을 해나갈수록 슬퍼지는 상범의 얼굴이 이를 대변한다. 성공을 위해서 상식을 넘어선 현대인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는 표정이다.

박완규의 연기는 그래서 빛난다. 우스꽝스러움과 비극을 오가는 상범의 페이소스는 그의 얼굴과 몸짓을 통해 오롯하게 드러낸다. 연민과 공감을 자아내는 이유다.

초고속 승진을 하고, 사장의 아들과 결혼했다 미망인된 성아미와 결혼하는 등 절정의 환희를 느낄 순간에 눈이 무대를 뒤덮는 가운데 엽총을 어딘가를 향해 겨누는 그의 얼굴은 마지막 상식을 지키고자 하는 최후의 절박함이다.

결국 '국물 있사옵니다'는 현재를 풍자하는 걸 넘어 반추하게 만든다. 서충식 극단 주변인들 대표의 연출 솜씨가 탁월한 이유다. 해설도 겸하는 상범의 초반 만화 같은 캐릭터를 비롯한 웃음, 상범이 새 상식을 장착한 이후 세대와 맞물리며 생기는 비장함 등을 이완과 긴장을 오가며 능숙하게 조절한다.

무대미술가 박동우가 상범의 욕망을 형상화한 여러개의 계단 식 무대를 활용한 동선 연출도 높이 살 만하다. 다만 결혼에만 매달리는 박용자, 남자를 이용한 뒤 소비만 되는 다방 여자 현소희 등 여성 캐릭터들이 입체적이지 못한데, 이는 작품이 쓰여진 시대의 한계로 보인다.

국립극단의 근현대 희곡의 재발견 시리즈의 하나다. 김영수의 '혈맥'(420~516일 명동예술극장·연출 윤광진), 함세덕의 '산허구리'(108~30일 백성희장민호극장·연출 고선웅)로 이어진다.

'국물 있사옵니다', 24일까지 서울 서계동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출연 박완규, 이종무, 임영준, 김정호, 유연수, 우정원. 예술감독 김윤철, 드라마투르기 김옥란, 무대 박동우, 조명 이현지. 러닝타임 110. 3만원. 국립극단. 1644-2003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