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21.0℃
  • 맑음강릉 18.8℃
  • 맑음서울 20.6℃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2.2℃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22.1℃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20.4℃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17.4℃
  • 맑음보은 21.0℃
  • 맑음금산 21.2℃
  • 맑음강진군 21.0℃
  • 맑음경주시 21.1℃
  • 구름조금거제 16.3℃
기상청 제공

정치

나경원 “KBS 뉴스와의 전쟁 선포”

URL복사

KBS 뉴스9, 한국당 로고 박힌 일장기 띄워
羅 “땡문뉴스 모자라 與 총선방송 돼... 고소고발”



[시사뉴스 오주한 기자] 18일 KBS 뉴스9가 ‘자유한국당’ ‘조선일보’ 로고가 박히고 “안 뽑아요” “안 봐요” 등 문구가 적힌 일장기를 영상에 띄워 논란이 일고 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KBS 뉴스에 대한 ‘전쟁’을 선포했다.

나 원내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 KBS 본사 앞 규탄 기자회견에서 “KBS 뉴스는 18일 사망했다. 공정보도 정신은 어제부로 파산했다. 문재인 정권의 정치적 프로파간다, 야당탄압의 칼춤을 추는 홍위병 매체로 전락했다”며 “2019년판 ‘땡문뉴스’도 모자라 이제는 여당 총선 캠페인 방송이 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유한국당은 대한민국 언론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KBS 뉴스와 전면전을 선포한다”며 “법적조치를 단계적으로 밟아갈 것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즉각 제소하고 (선거법 위반 등) 민형사상 고소고발 조치도 취하겠다. KBS 수신료 거부운동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땡전뉴스’는 전두환 정부 시절 KBS 등이 전 대통령 ‘찬양일색’ 보도를 내보낸 것을 꼬집는 용어다. ‘땡문뉴스’는 주체를 문재인 정부로 바꾼 것이다. KBS 매출에서 수신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기준으로 43%에 달한다. KBS노조에 따르면 KBS의 올해 적자는 1000억 원을 넘어섰다. 내년에는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처지다.

나 원내대표는 “독재권력의 하수인을 자처하는 KBS를 이대로 두면 대한민국 영혼은 좀 먹는다”며 “양승동 사장의 즉각 사임, KBS 편파·왜곡뉴스에 대한 청문회 실시 없이는 자유한국당은 공영방송 정상화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BS는 19일 ‘자유한국당’ 등 로고가 박힌 일장기 송출을 사과했다. 그러나 한국당은 “이미 전 국민이 봤는데 뒤늦게 사과해봤자 소용없다”는 입장이다.

작년 4월 사장에 취임한 양 사장은 지난 1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 ‘문자메시지’로 불참을 밝혀 물의를 빚었다. 한국당은 양 사장에 대해 “오로지 문재인 정권과 민노총 코드에 충실하다는 이유로 (사장) 후보자에 오른 인물”이라고 규탄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