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행정부 등 관계국과 긴밀한 소통 관계 구축"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의미 있는 진전에 최선 노력"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정부가 미국의 조 바이든 미국 차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최장수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교체했다.
미 정권 교체와 함께 북핵 협상 라인을 재편하고, 문재인 정부 임기 내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정착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서겠다는 의도로 향후 새판 짜기에 나설 지 주목된다.
외교부는 21일 차관급인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에 노규덕(57) 국가안보실 평화기획비서관을 임명했다. 이는 지난 2017년 9월 이도훈 본부장을 임명한 후 3년3개월 만에 한국 측 북핵수석대표를 교체한 것이다.
북핵 외교 실무를 총괄하는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 비핵화 문제를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조율하는 자리로 사실상 한반도 문제 해결의 최전선에 있는 인물이다.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 역시 내년 1월 임기가 끝난다. 바이든 당선인은 초대 국무장관으로 토니 블링큰 전 국무부 부장관을 내정했지만 아직 비건 대표의 후임 인사는 거론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신 행정부 출범에 맞춰 협상대표를 교체하면서 한반도 문제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북핵 공조와 대북 조율 강화를 통해 북미 관계는 물론 남북 관계의 진전을 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노 신임 본부장은 외무고시 21기로 1987년 공직에 입문해 주미국 공사참사관, 장관보좌관, 평화외교기획단장, 주나이지리아대사, 대변인 등을 지냈다. 주중국1등서기관, 중국몽골과장 거치는 등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북핵 외교를 경험했다. 지난해 3월 국가안보실 안보전략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올해 9월부터 평화기획비서관을 역임했다.
노 본부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를 둘러싼 여건이 여러 모로 유동적인 상황"이라며 "곧 출범하게 될 바이든 행정부를 포함해 관련국의 각 대표들과 하루 속히 긴밀한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임 본부장의 최우선 과제는 새로 출범하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인 관리와 대화 모멘텀 유지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주시하면서 내년 1월 당대회에서 새 대외정책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협상력 강화를 위해 핵·미사일 시험 등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동시에 바이든 행정부에서 외교안보 라인을 정비하고, 새로운 대북 외교 전략을 세우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 행정부 출범 초기 남북, 북미 대화의 동력을 이어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한편 이도훈 전 본부장은 문재인 정부 초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에 임명돼 3년3개월의 임기를 마무리하고 떠난다. 이는 2006년 한반도본부가 신설된 후 최장수 본부장 기록으로 2009~2011년 한반도 본부장을 역임했던 위성락 전 주러시아 대사의 재임기간 2년6개월을 넘어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