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7.0℃
  • 맑음강릉 18.2℃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9.0℃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9.3℃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3.1℃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5.6℃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7.0℃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바이오ㆍ제약

선명도 10배 높이는 MRI 조영제 개발…기초과학연구원·연세대 공동 개발

URL복사

 

 

미세혈관 관찰 가능해 뇌심혈관질환 조기 진단에 유용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뇌심혈관질환 진단을 위한 MRI(자기공명영상) 촬영시 사용되는 기존 조영제보다 10배 더 정밀한 3차원 혈관 지도를 만들 수 있는 조영제가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연세대 화학과 교수)과 연세대 의대 최병욱 교수(영상의학) 공동연구팀은 5나노미터 크기로 미세혈관 직경(0.2~0.8㎜)보다 약 1500배 정도 작아 몸 속 모든 혈관을 돌아다닐 수 있는 조영제 'SAIO(사이오)'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1나노미터(nm)는 1미터(m)의 십억 분의 일에 해당한다.

 

뇌심혈관질환은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난 30년 간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를 기록했다. 뇌와 심장의 혈관이 좁아졌거나, 막혔는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MRI가 널리 사용되지만 기존 조영제는 최대 해상도가 1㎜에 불과해 직경 0.2~0.8㎜인 미세혈관을 관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현재 MRI 촬영시 사용하는 '가돌리늄' 조영제는 건강한 사람에서는 콩팥으로 배설되지만, 만성콩팥병을 심하게 앓고 있는 환자에서는 신원성전신섬유증이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조영제의 성분을 생체 친화적인 탄수화물과 철분으로 구성하고, 소변으로 100% 배출되도록 했다. 또 지금보다 해상도도 10배 향상시켰다.

 

천진우 단장은 "예를 들어 기존 조영제를 이용한 MRI 혈관 지도는 큰 고속도로만 볼 수 있었다면 이번에 개발된 조영제로는 고해상도의 정밀 지도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실제 사이오를 활용해 동물(쥐)의 뇌를 MRI 촬영한 결과, 머리카락 굵기(100㎛)만 한 미세혈관까지 선명히 볼 수 있는 3차원 정밀 MRI 뇌혈관 지도(사진)를 구현해냈다.

 

특히 사이오는 동물실험에서 MRI 촬영 후 소변으로 완전히 배출됐다. 실험에서 사이오 주입 전과 후로 쥐의 방광을 MRI 촬영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이오가 방광으로 모이는 것을 확인했고, 방광에 모인 사이오는 소변으로 배출됐다.

 

천 단장은 "조영제는 MRI 촬영 후 8시간 내에 92%, 24시간 내에 100%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이오는 세계 최고수준의 해상도와 완벽한 배출 성능을 가진 조영제"라며 "향후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치매 등 뇌심혈관질환 조기 정밀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선도형연구중심병원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BS 지원으로 수행됐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IF 18.952))'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