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8.9℃
  • 흐림강릉 9.2℃
  • 구름조금서울 10.9℃
  • 구름많음대전 13.0℃
  • 구름많음대구 13.3℃
  • 구름조금울산 10.7℃
  • 박무광주 15.2℃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11.4℃
  • 흐림제주 13.7℃
  • 구름많음강화 12.0℃
  • 흐림보은 13.7℃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11.4℃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사회

홍기원 의원, 줄였던 항공사 인력 증원 없이 운항 증편만…“14시간 비행 쉬지도 못해”

URL복사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2022년 8월 말 항공사 인력 31.1% 축소 운영 중
2020년 8월 1,919편이던 국제선 노선은 2022년 8월 7,780편으로 4배(300%) 증가
홍기원 의원,“항공사들은 조속히 인력 충원해야 승객의 안전 책임질 수 있을 것”

[시사뉴스 서태호 기자] 여객 운송을 담당 국내 항공사들이 실제 현장에 근무하는 자사 직원을 코로나19 이전보다 여전히 31.1% 축소한 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제(11일)부터 일본 무비자 관광이 재개되는 등 엔데믹 기조에 각국의 방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항공업계가 ‘일상회복’을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인력난에 시달릴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된다.

 

홍기원 의원실에 따르면 코로나 19 범유행 이후 국내 여객 항공사들은 의원 면직, 정년 퇴직 등 자연적인 직원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규 채용을 줄였다. 이에 2022년 8월말까지 10개 국내 여객 항공사들의 직원 수는 2019년 대비 2,734명이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업계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각 항공사들은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통한 고용유지 조치를 시행했다. 이와 함께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이외에 각 항공사들은 유‧무급 등 기타 휴직‧휴업 형태의 자체적인 고용유지 조치를 시행 중인데, 2022년 8월 31일 기준 10개 국내 여객 항공사들의 기타 휴직‧휴업 인원은 총 9,351명이다.  △대한항공 2,980명 △아시아나 5,825명 △제주항공 216명 △진에어 76명 △에어부산 67명 △티웨이항공 152명 △에어서울 26명 △플라이강원 0명 △에어로케이 4명 △에어프레미아 5명

 

결국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통한 고용유지 조치를 제외한 각 항공사들의 실제 근무 인원수는 현원보다 더 낮은 26,811명으로 실제는 2019년 대비 –31.1% 수준인 셈이다.*2019년 현원 38,896명 / 2022년 현원 36.162명 – 기타휴직‧휴업 9,351명 = 실제 근무 인원 26,811명(26,811명-38,896명)/38,896명 = -31.07%

 

반면 거리두기와 입국 제한이 완화되면서 여행 수요 증가에 맞춘 국제선 운항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2020년 8월 한 달간 총 1,919편이던 전체 국제선 노선은 2022년 8월 7,780편으로 4배(300%)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도 지난 5월부터 항공편 대폭 증편하고,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을 50% 수준으로 회복을 목표로 하는 ‘국제선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앞으로 운항 편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항공업 종사 노동자들은 항공업 회복세에 있어 인력난에 놓여 있으며 200명이 타는 여객기 기준으로 코로나19 이전에 9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면 지금은 6명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가 한창일 때와 비교하면 최근 여객기는 승객을 가득 채워서 가기 때문에 노동 강도는 더 세질 수 밖에 없다고 한다. 한 승무원은 “14시간 비행을 하는데 승무원 좌석에 앉아서 잠시 쉬어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홍기원 의원은 “최근 일본행 무비자 관광이 풀리는 등 국내외 방역 상황변화에 맞춰 항공업계의 일상회복이 추진 중”이라며 “커지는 기대감에 항공업계도 반색하고 있지만 정작 줄어든 항공사 인력은 답보상태에 있어 하늘길이 열려도 현장에서는 인력난에 시달릴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홍기원 의원은 “항공업계 일상회복에 발맞춰 항공편 수요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항공사들은 조속히 인력을 충원해야 승객의 안전과 서비스의 질을 책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