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6.0℃
  • 맑음강릉 15.8℃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8.4℃
  • 맑음대구 21.8℃
  • 맑음울산 14.1℃
  • 맑음광주 19.0℃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15.2℃
  • 맑음제주 16.2℃
  • 맑음강화 11.7℃
  • 맑음보은 18.3℃
  • 맑음금산 17.8℃
  • 맑음강진군 17.6℃
  • 맑음경주시 16.1℃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사회

홍기원 의원,“국토부 도로불편 신고 어플, 조치까지 최대 3개월”

URL복사

노면상태‧도로시설물 불량 등 도로이용불편 민원 10만 건(최근 5년)
민원 접수 증가하는데 조치기간 최장 3개월
홍기원 의원“교통안전을 위해 민원접수 즉시 발 빠른 대처 필요”강조

[시사뉴스 서태호 기자] 고속도로 이용 등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신고앱(척척해결서비스)의 민원 조치 기간이 최장 3개월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로교통 안전을 위해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홍기원 의원(더불어민주당, 평택갑)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신고앱을 통해 접수된 도로이용불편 민원이 10만건(101,870건)을 넘었다.

 

도로이용불편 신고앱은 파손된 도로 안전시설물 훼손, 낙석, 토사 같은 도로 위 장애물, 막힌 배수로, 적설 상황 등을 도로 이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접수해 시군 등 관할 국토관리청이 해당 신고정보를 토대로 보수‧복구 작업하는 방식이다.

 

연도별로 ▴2017년 4,652건 ▴2018년 4,268건 ▴2019년 8,728건 ▴2020년 23,883건 ▴2021년 34,084건으로 도로이용불편 민원이 꾸준히 증가하며, 2017년 대비 지난해까지 7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8월 기준 접수건수는 26,255건으로 작년 민원접수 건수를 넘어설 전망이다.

 

접수건수가 많은 상위 지자체 5곳은 경기도가 31,758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4,577건 ▴경상남도 7,153건 ▴경상북도 7,089건 ▴강원도 6,485건 ▴대전 4,747건이 뒤를 이었다.

 

불편유형별로는 ▴노면상태 불량 29,667건 ▴도로시설물 불량 26,170건 ▴포트홀 10,608건 ▴로드킬‧낙석 5,186건 ▴배수시설 불량 3,690건 순이었고 이 밖에 과속방지턱 및 차선 도색 불량, 가로수의 도로침범 등 여러 이유로 26,549건 접수되었다.

 

민원을 조치하는데 가장 오래걸린 기간은 최대 99일로 ▴2020년 99일 ▴2021년 96일 ▴2022년 94일(8월까지) 3년 연속 3달이상 걸렸다.

 

이에 홍기원 의원은“척척해결서비스 제도의 핵심은 도로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들을 빠른 시일 내에 해소하여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있다”며“민원접수 즉시 발 빠른 보수작업 등 대처를 통해 교통안전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