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은 하천 수생태계의 건강성 회복과 관련하여 주요 선진국의 정책방향과 복원사례에 대한 경험과 기법을 공유하기 위해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 및 재창조”(Restoration and Rebirth of Aquatic Ecosystems in Rivers)란 주제로 19일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에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Radboud 대학 교수이자 Alterra and Wageningen University 생태연구센터 소장인 Henk Siepel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최근 유럽에서 보편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하천 복원방식인 수량과 생물다양성의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인위적으로 영향을 조절하는 방법의 적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인위적 영향 조절 방법은 이번 4대강살리기 사업에서 적용 가능한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직접 국가 환경기준을 만들고 있는 US EPA 전문가인 Charles G. Delos박사는, 한국도 미국과 같이 수생태계 보전과 복원을 위해 생물학적 기준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독성물질과 수생태계 건강성을 연계한 서술적 기준(Narrative criteria)을 이용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의 Seiichi Nohara박사는 일본의 가장 크고 대표적인 쿠시로 습지의 복원사업을 메콩강의 하천복원사례와 비교하여 하천생태계의 복원을 위해서는 대체서식지 등 습지의 복원 및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독일 바이에른 주의 Kleber-Lerchbaumer 박사는 하천복원 사업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결정하되, 물고기 이동통로 확보, 강의 형태학적 안정성 유지, 습지개발과 홍수방지·수력발전·수운 등 사회경제적 장점 등 독일의 하천복원 경험을 소개했다.
미국 루즈벨트 연구재단 이사이자 미시간대학의 Wiley교수는, 미시간 강과 무스케곤 강을 중심으로 어류 관리·계획을 위한 유역보전 및 복원 방안을 제시하였고, 특히 어류는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서 수생태 건강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자연친화적인 접근을 하되, 하천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모습과 기능을 최대한 살려주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4대강 사업 이후 조류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류보와 하류보의 역할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며, 준설에 의한 하천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획을 나누어 교차 시공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오늘 심포지엄에서 제시된 수생태계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우리나라 4대강 살리기 사업 이후의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을 증진하는데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