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 돼 있던 천안함의 두 번째 실종자가 나왔다. 주요 언론보도에 따르면 천안함 승조원이었던 김태석 상사(37)이다. 김 상사는 UH-60 헬기를 타고 경기 평택시 해군 제2함대사령부 헬기장에 내렸다.
7일 오후 7시 30분, 마스크를 쓴 8명의 해군이 흰 천에 싸인 김 상사의 시신을 옮기자 도열해 있던 20여 명의 후배 해군들은 김 상사에게 일제히 경례를 올렸다.
이날 부인은 통곡하며 죽은 남편의 시신에 손을 뻗어 봤지만 차마 만질 수 없었고, 동료들의 얼굴은 눈물로 뒤범벅됐다. 철모르는 막내딸 해봄이(6)는 검안실로 들어가는 흰 천을 보고 환하게 웃으며 ‘엄마’를 외쳤고 검안실은 온통 침통함으로 가득했다.
차디찬 바닷속에서 13일 동안 머무른 김 상사는 싸늘한 주검이 돼서 이제야 아내와 세 딸에게로 돌아온 것이다. 4일 오전 부대로 이송된 고 남기훈 상사 이후 두 번째 천안함 실종자이다.
김 상사는 1973년 경기 성남시에서 태어나 성남서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지난 1993년 해군 부사관 144기로 임관한 뒤 지난해 4월부터 침몰한 천안함에서 근무했다. 이에 부대 한 관계자는 “김 상사는 천안함에 근무하면서 단 한건의 장비사고도 없었던 모범적인 군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사에서 상사로 진급을 앞두고 이 같은 변을 당했다. 해군은 실종상태였던 김 상사에 대해 4월 1일자로 상사로 진급을 시켰다. 김 상사는 진급했지만 상사 계급장을 달지 못한 채 중사 계급장의 전투복을 입고 돌아온 것이다.
김 상사는 해군에서도 알아주는 ‘해군가족’이다. 큰형 김태원 씨는 해군 중위, 작은 형 태균 씨는 일반병으로 해군에서 근무했으며, 큰형인 태원씨는 시신을 발견한 7일 실종자 가족 대표단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날 형은 현장에 가자마자 발견된 동생의 시신을 안고 같은 헬기를 타고 돌아왔다. 헬기에서 내린 태원 씨는 침통한 표정으로 “아무것도 할 수 있는 말이 없다”고 회한의 눈물을 흘렸다.
부인 이수정 씨도 남편이 안치된 후에도 서럽게 울먹이면서 “이번 훈련에서 돌아오면 세 딸과 함께 맛있는 것도 사먹으려 했는데…”라며 “남편을 발견할 줄 몰라 슬프고 힘들었지만 그래도 찾게 되어 정말 감사하다”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이날 두 번째 사망자가 발견되자 실종자 가족들은 큰 고통과 안타까움이 더욱 커졌다. ‘혹시나 했던’ 희망이 물거품이 되는 순간이었다. 이정국 실종자가족협의회 대표는 “동료들이 다 오시면 함께 좋은 곳으로 보내드릴 것”이라며 “솔직히 귀환했다는 것 자체가 다행”이라고 가족들을 위로했다.
한편, 김 상사의 시신은 오후 8시경 2함대사령부 안치소에 안치되면서, 이제 천안함 사건 실종자는 44명이 됐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