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4.3℃
  • 구름많음강릉 26.3℃
  • 구름조금서울 23.5℃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24.1℃
  • 맑음광주 23.2℃
  • 맑음부산 19.5℃
  • 맑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22.3℃
  • 맑음보은 24.4℃
  • 맑음금산 25.7℃
  • 맑음강진군 22.7℃
  • 맑음경주시 26.9℃
  • 맑음거제 21.1℃
기상청 제공

국제

바이든, 부채한도 합의안 상원 통과 환영…3일 서명

URL복사

"합의안 통과 매우 중요…정치보다 국익 우선시했다"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상원을 통과한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의 의회 처리를 환영하며 3일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의회를 통과한 법안은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발효된다.

 

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을 통해 "예산 합의안을 통과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했다. 위험이 더 클 수는 없었다"며 "양측 모두 선의로 행동했다. 약속을 지켰다"고 말했다.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은 3일 법안에 서명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민주당과 공화당의 역할을 두고 "책임감 있게 행동했고 정치보다 국익을 우선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초당파적 협력의 시대는 끝났고 민주당과 공화당은 더 이상 협력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 나는 그 말을 믿지 않는다"며 "미국 민주주의가 기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타협과 합의"라고 말했다.

동시에 "초당파적 합의가 어렵고 통합이 어렵다는 것을 안다. 그렇다고 시도를 멈출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가 방금 직면한 것과 유사한 순간 때문에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가 무너질 위험에 처해 있다. 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정치가 아무리 어려워지더라도, 우리는 서로를 적이 아니라 동료 미국인으로 봐야 한다"면서 "서로를 품위와 존중으로 대하고, 미국인과 힘을 합쳐 고함을 멈추고, 온도를 낮추고, 진보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번영을 확보하고, 모두를 위한 미국의 약속을 지키자"고 언급했다.

1일 미 상원은 표결을 통해 찬성 63표, 반대 36표로 부채한도 적용을 유예하고 정부지출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앞서 미 하원은 전날 찬성 314표, 반대 117표, 기권 4표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연방정부는 오는 5일까지 부채한도를 인상하지 않으면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됐다. 나흘 전 관련 법안이 의회 문턱을 모두 넘으면서 채무불이행 우려가 해소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