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29일 천안함 희생자 장병들의 영결식을 끝으로 조문 정국이 막을 내렸다.
그동안 천안함에 파묻혀 있던 6·2지방선거가 정국의 최대 이슈를 솟구쳐 오르고 있다. 제5회 지방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치열한 지방권력 열전(熱戰)이 본격 시작된 것.
특히 MB정부 반환점에서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에는 광역단체장 16명, 기초단체장 228명, 광역의원 761명, 기초의원 2천888명, 교육감 16명, 교육의원 82명 등 총 3천991명의 ‘국민의 일꾼’을 선출한다.
여야, 본격적인 지방선거 돌입‥수많은 난제 속에 안개정국
정치권은 천안함 정국 속에서 선거전을 최대한 자제해 왔으나, 영결식을 끝으로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하며 MB정부 중간 평가와 지방권력 쟁탈전에 나선 것.
우선 이번 선거는 2008년 총선 이후 2년 만에 열리는 전국단위 선거이자 2012년 총선,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다. 아울러 결과에 따라 정계개편과 차기 대선구도 변화 등 만만치 않은 후폭풍이 뒤따를 전망이다.
여야는 이르면 금주부터 본격적인 선대위 체제를 가동할 계획이다. 한나라당은 3일 서울시장 후보 선출을 마지막으로 16개 광역단체장 후보 공천을 완료하고 10일 전후로 선대위 발족식을 가질 예정이며, 민주당은 6일 서울시장 후보 선출을 마무리한 뒤 9일쯤 선대위를 발족시킨다는 계획이다.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도 이달 중순까지 공천을 완료하고 선거전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여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를 ‘미래와 과거’, ‘경제살리기 세력과 경제발목잡기 세력’간 대결구도 아래, 경제살리기와 국정안정을 위해 여당이 승리해야 한다는 논리로 표심을 자극한다는 전략이다.
반면 민주당은 4대강 사업을 비롯한 각 분야의 정책실패 등 ‘총체적 난맥상’을 집중 부각시키며 정권심판론을 확산시킨다는 것.
이런 가운데 여야는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원, ‘스폰서 검사’ 파문, 전교조 명단 공개, 법조계 개혁 갈등 등을 놓고 첨예한 대립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에서 천안함 사태는 최대 이슈를 부상할 전망이다.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의 도발로 명확해지면 정국은 이념 대결과 보수층 결집, 反북한 민심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아울러 천안함 진상규명 단계에서 사고 원인과 책임자 문책 등을 놓고 여야 간 대충돌이 예상된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1주기(5.23) 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가 복잡한 양상으로 흐르는 가운데 선거 판세를 가름해 볼 수 없는 격랑 속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 선거 판세 가늠키 힘들어‥‘천안함 안보정국’ 핵심!
이번 선거가 그 어느 때보다 그 판세를 가름해 볼 수 없는 안개정국이다. 한나라당의 경우 텃밭인 영남권을 제외하고는 수많은 선거변수로 인해 수도권과 충청권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민주당은 지지기반인 호남과 함께 수도권과 충청권의 선전을 벼르고 있지만, 천안함 사태로 인해 큰 타격이 예상된다.
선진당의 경우 대전·충남 석권을, 민노당은 울산 광역단체장 한 곳과 10곳 안팎의 기초단체장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녹녹하지 않은 상황이다.
여야 모두 최대 격전지로 수도권 선거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최대 격전지는 서울시장 선거다.
현재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한나라당 오세훈 시장이 민주당 유력 후보인 한명숙 전 총리를 앞서고 있지만 지지율 격차가 오락가락하고 있어 뚜껑을 까봐야 그 결과를 알 수 있는 형국이다.
이에 반해 경기지사 선거는 한나라당 김문수 지사가 대세론 굳히기를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김진표, 국민참여당 유시민 예비후보 중에 누가 단일화가 되느냐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김 지사가 단일화 후보에게 현재까지는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인천시장의 경우는 한나라당 안상수 시장이 다소 앞서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민주당 송영길 최고위원과 민노당 김성진 전 최고위원의 단일화 여부에 따라 혼전이 예상되고 있다.
결국 천안함 사태로 불거진 안보정국이 이번 지방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