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6℃
  • 맑음대구 14.7℃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경제

CNK 주식 투자 65% 손실

URL복사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 중인 씨앤케이인터내셔널(이하 CNK)에 투자한 개미 투자자들의 손실이 65%에 달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왔다. CNK의 주가는 정부의 보도자료 배포 덕에 3천원대에서 1만8천원대까지 6배로 뛰었다 폭락했다. 이에 따라 뒤늦게 가세한 소액 투자자들은 적지않은 피해를 입었다.
 29일 현대증권은 CNK 주가조작에 따른 투자 손실의 추정치를 계산해 발표했다. 외교통상부의 보도자료 배포로 주가가 뛰기 직전인 2010년 12월 10일부터 지난 27일까지 CNK 주식을 사들인 투자자의 평균 매수 단가는 9천807원. 이는 거래량을 고려해 계산한 가중평균 단가다.
 매수한 투자자가 주식을 27일 현재까지 보유했다면 평균 64.7%의 손실을 봤을 것으로 추정됐다. 만약, 정부 발표를 믿고 CNK 주식에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65만원의 손실로 불과 35만원이 남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CNK의 소액투자자들은 1만3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009년 3월 오덕균 CNK 대표가 코스닥 업체 코코엔터프라이즈의 경영권을 장악한 뒤 CNK(옛 코코엔터프라이즈)의 주가는 널을 뛰었다. 3천원대에 머물던 이 회사의 주가는 2010년 12월 17일 외교통상부가 "CNK가 카메룬에서 추정 매장량이 최소 4억2천만 캐럿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보도자료를 내면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 이듬해 1월 14일 한 달도 안돼 장중 1만8천350원까지 뛰어올랐다.
CNK 관련 보도는 2007년부터 가끔 나오긴 했지만, 외교부의 보도자료는 CNK 사업의 수익성을 공인해준 것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반면  '미공개 정보'를 가진 CNK 관계자들과 정부 고위 관계자 등 정권실세 친인척들은 큰 차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자 CNK 대표 오씨는 급등한 주가를 활용해 자신과 처형이 보유한 주식을 팔아 803억원의 부당이득을 본 혐의를 받고 있다. 외교부 차관과 국무총리실장을 지낸 조중표(60) CNK 전 고문은 보도자료 배포 직전 CNK 주식을 매입해 10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