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12.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많음서울 13.8℃
  • 맑음대전 12.9℃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3.6℃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6.0℃
  • 맑음제주 15.3℃
  • 구름조금강화 15.0℃
  • 맑음보은 9.8℃
  • 맑음금산 11.0℃
  • 맑음강진군 11.6℃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경제

세계 자수성가 부자의 아이콘, 페이스북 만든 '마크 저커버그'

URL복사

[시사뉴스 홍경희 기자]

전세계에서 재산이 100억달러를 넘는 '슈퍼 부자' 중 3분의2 이상이 자수성가형이며, 페이스북을 성공시킨 마크 저커버그가 대표적인 인물로 꼽혔다.

중국의 부자 연구기관인 후룬(胡潤)이 6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재산이 100억달러를 넘는 거부는 83명이었고 이중 56명이 부모의 재산을 상속받지 않은 '자수성가'로 나타났다.

자수성가형 부자로 대표적인 인물로는 창사 8년 만에 추정 시가총액 1,000억달러에 육박하는 페이스북을 키워낸 마크 저커버그가 꼽혔다. 그는 260억달러의 재산을 보유해 전체 부자 순위에서도 8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각각 175억달러의 재산을 보유한 구글의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도 자수성가형 부자에 선정됐다.
전세계 부자 1위는 550억달러를 보유한 멕시코의 통신재벌 카를로스 슬림이 차지했고 지난 2010년에 이어 빌 게이츠(500억달러)는 2위에 머물렀다. 워런 버핏이 480억달러로 3위를 차지했고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노르(420억달러), 패스트패션업체 자라(ZARA)의 아만시오 오르테가(360억달러)가 뒤를 이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6세였고 남성이 73명으로 대다수였다. 미국인이 2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러시아가 10명으로 뒤를 이었다. 아시아권에서는 중국과 인도가 각각 5명씩 이름을 올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