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국제

이상봉-서경덕, 10일부터 ‘성웅 이순신 프로젝트’ 시작

URL복사

배우 조달환, 한글 캘리그라피 재능 기부 참여

[시사뉴스 이기연기자]  이번엔 ‘성웅’ 이순신이다.

대한민국은 물론, 러시아와 미국 뉴욕까지 초대형 안중근 손도장 프로젝트를 펼쳐 많은 화제를 모은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교수가 패션 디자이너 이상봉과 함께 전 세계에 이순신 장군을 알리는 ‘성웅 이순신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그간 ‘대한민국 영웅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서경덕 교수는 “인도 하면 간디, 미국 하면 링컨 등 그 나라를 대표하는 영웅들이 국가 이미지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해 왔다. 우리나라 영웅을 전 세계에 알림으로서 대한민국의 브랜드를 높이고자 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지난 첫번째 3만여 명의 국민 손도장을 활용하여 안중근 의사 대형 걸게그림을 광화문에 내걸어 외신을 통해 전 세계에 많은 홍보를 할 수 있었다. 특히 드블라지오 뉴욕 시장이 후보 시절 손도장에 참여해 더 큰 화제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에도 가로 30m, 세로 50m 초대형 천 위에 국내외 많은 사람들이 난중일기 내용을 붓으로 직접 써서 이순신 장군 이미지를 형상화한 후 광화문 일대 대형 건물에 전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순신 장군 이미지를 디자인한 이상봉은 “이순신 장군의 나라 사랑 및 용맹함을 배우 조달환의 한글 캘리그라피를 활용하여 디자인했으며 향후 패션 디자인에도 사용하여 세계인들의 공감을 얻어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성웅 이순신 프로젝트는 10일부터 광화문 광장을 시작으로 현충사 및 전국 주요 도시를 돌며 진행하게 된다.

특히 서 교수는 “작년에 난중일기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가 된만큼 이번 프로젝트에 많은 외국인들을 참여시켜 난중일기와 함께 한글을 더 널리 홍보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미국 뉴욕을 비롯, 중국, 일본 등을 직접 다니며 재외동포 및 현지 외국인들의 참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뉴욕에서는 맨해튼의 명소 타임스스퀘어나 센트럴파크를 후보지로 고려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CJ E&M에서 후원하며, 완성된 걸게는 오는 4월28일 충무공 탄신일을 맞아 광화문 광장 일대 대형 건물에 전시하게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