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8.1℃
  • 구름많음강릉 18.5℃
  • 맑음서울 12.1℃
  • 맑음대전 11.8℃
  • 맑음대구 13.9℃
  • 맑음울산 11.4℃
  • 맑음광주 13.4℃
  • 맑음부산 12.8℃
  • 맑음고창 9.3℃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8.1℃
  • 맑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10.0℃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사회

전남 화순 280mm ‘물폭탄’…인명피해 등 잇따라

URL복사

‘주택·농경지’ 침수... ‘인명·낙뢰’ 피해도…영산강 남평지점 등 홍수주의보 해제

[기동취재반]지난 18일부터 이틀간 화순군 이양면에 28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는 등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19일 광주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전남 화순(이양)에는 281㎜의 폭우가 쏟아졌다. 같은 기간 순천(주암) 268㎜, 나주(다도) 267㎜, 고흥(도양) 190.5㎜, 화순 150㎜, 장흥(유치) 132.5㎜, 보성 114.5㎜, 장성 108.5㎜, 광주 66.0㎜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오후 들어 장마전선이 남해안쪽으로 내려가면서 광주와 전남 대부분 지역에 비가 그쳤다고 설명했다. 오후 12시30분께 나주, 화순, 보성, 장흥, 장성, 함평 등에 내려졌던 호우경보와 호우주의보도 모두 해제됐다.

하지만 이틀 새 시간당 최고 8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광주와 전남지역에서는 주택과 농경지가 침수되고 도로가 유실되는 비 피해가 발생했다.

광주에서는 주택 5가구가 빗물이 유입돼 피해를 입었으며 차량 2대가 일부 잠기고 도로 3곳이 빗물에 유실돼 긴급 복구됐다. 광주 남구 대촌동과 효덕동 일대는 시설하우스 100동(10㏊)과 농경지 60㏊가 비 피해를 입었다.

훨씬 많은 양의 비가 내린 전남지역의 피해는 더 컸다.

전남 순천과 화순에서는 주택 16가구가 침수돼 주민 55명이 마을 인근 교회와 회관으로 대피했다. 나주 남평읍에서는 오리농장 9동이 물에 잠겼으며 나주와 고흥, 화순, 순천에서는 농경지 147.5㏊, 시설하우스 2.8㏊가 비 피해를 입었다.

전남지역 국도 등 10곳 가량의 도로나 시설물이 유실돼 전남도와 일선 지자체가 긴급 복구 작업을 벌였다.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이날 오전 9시20분께 광주 서구 광천2교 밑 광주천에서는 사람이 떠내려간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다리 밑에 머물던 노숙자가 사고를 당한 것 같다"는 주민의 진술을 바탕으로 광주천 일대를 수색하고 있다.

이에 앞선 오전 9시8분께 전남 고흥군 금산마을회관 앞에서는 하천을 건너던 김모(35)씨가 불어난 물에 휩쓸려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고흥군과 경찰은 50여명의 인력과 해경선 등을 동원해 수색 작업을 벌였으나 통신 수사 끝에 오인 신고인 것으로 확인됐다.

낙뢰 피해도 잇따라 무등산의 자동관측기기에 장애가 발생하고 순천 기상대의 일부 장비가 파손됐다가 복구됐다. 영산강 남평지점과 나주지점은 한 때 수위가 치솟으면서 각각 홍수경보와 홍수주의보가 발령됐지만 오후 3시를 기점으로 모두 해제됐다.

광주기상청은 오는 20일까지 광주와 전남지역에 5㎜에서 최고 40㎜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에 따라서는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 이상의 소나기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광주기상청 관계자는“주말은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며 “안전사고와 시설물 관리에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