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6℃
  • 맑음대구 14.7℃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인천AG]'4년 전 설움은 없다' 한국 레슬링 27일부터 메달 사냥 돌입

URL복사

[기동취재반] 2010광저우아시안게임에서 '노골드'의 수모를 안았던 한국 레슬링이 27일부터 자존심 회복에 나선다.

안한봉(46·그레코로만형)·박장순(46·자유형) 두 감독이 이끄는 한국레슬링대표팀은 27일부터 닷새간 인천 도원체육관에서 열리는 2014인천아시안게임 레슬링 경기에 돌입한다.

한국 엘리트 스포츠의 대표적인 메달 효자 종목인 레슬링은 4년 전 광저우대회 때 시상대 위에 한 번도 서지 못했다.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그레코로만형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얻었고 자유형에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에 그쳤다. 세대교체 과정에서 실패해 한 차례 크게 홍역을 앓았다. 

이번에는 다르다. 2012런던올림픽에서 '금빛 매치기'에 성공한 한국 레슬링은 '잃어버린 4년'을 되찾기 위해 혹독한 인내의 시간을 버텨냈다.

이번 대회에는 남자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각각 8체급에 여자 자유형 4체급 등 총 20개 체급에 금메달이 걸려있다. 

한국은 남자 그레코로만형 7체급(59·66·71·75·85·98·130㎏), 자유형 7체급(57·61·70·74·86·97·125㎏), 여자 자유형 4체급(48·55·63·75) 총 18개 체급에 출전한다. 

한국은 체급별 전 종목 메달 석권이라는 큰 틀에서의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그레코로만형을 바탕으로 최소 3개에서 최대 5개 정도의 금메달이 가능하다는 것이 레슬링계의 전망이다.

안한봉 감독은 아시안게임 대비 사전 미디어 데이에서 "그레코로만형의 경우 전 종목 금메달이라는 목표를 잡았다"고 출사표를 던진 바 있다.

레슬링은 역대 아시안게임에서 49개의 금메달을 거둔 대표적인 '효자 종목'이다. 1986년 서울 대회부터 2006년 도하 대회까지 한 번도 금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그러나 4년 전 광저우 대회에서는 1982년 뉴델리 대회 이후 28년 만에 '노 골드'의 수모를 겪었다.
새롭게 나선 2012런던올림픽에서는 그레코로만형 남자 66㎏급에서 정상을 차지한 김현우(26·삼성생명)를 배출하며 부활의 날개를 폈다.

김현우는 이번 대회에서도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손꼽힌다. 그는 이번 대회 우승을 통해 레슬링 그랜드슬램(올림픽·세계선수권·아시안게임·아시아선수권 우승)에 도전한다. 4년 전 광저우 대회 2회전 탈락의 아픔을 씻어낼 기회이기도 하다.

66㎏급의 류한수(26·삼성생명)는 지난해 한국 레슬링에 14년 만에 세계선수권 우승을 안긴 주인공이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금메달리스트 71㎏급 정지현(31·울산남구청)도 기대를 걸어볼만 하다.

59㎏급의 '늦깎이 유망주' 김영준(28·수원시청)은 최근 잇따라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며 쾌조의 컨디션을 자랑하고 있다.

한국은 이란·중국 등 아시아 전통의 강호는 물론 최근 급성장한 북한을 뛰어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세계선수권 그레코로만형 55㎏급 우승을 차지한 윤원철(25) 등 실력파를 내세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