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6℃
  • 맑음대구 14.7℃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인천AG]아시안게임 MVP, 日·中 2파전으로 압축

URL복사
[기동취재반] 2014인천아시안게임이 어느덧 반환점을 돈 가운데 대회 최고의 별을 뽑는 삼성 MVP 어워드 수상자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아시안게임에서 MVP를 선정하기 시작한 것은 1974년 테헤란 대회부터다. 아시안게임 창설에 공헌한 故 이상백 박사의 이름을 딴 이상백배(李相佰盃)로 명명해 6회간 수상했다. 

1998년 방콕대회 때부터는 삼성전자가 공식 스폰서로 나서면서 삼성 MVP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변경됐다. 

역대 삼성 MVP 어워드 수상자 면면을 보면 기준은 다관왕과 연속우승, 기록경신 등이다. 

29일까지의 성적을 놓고 볼 때 MVP 경쟁은 일본과 중국 선수들의 2파전으로 좁혀진 모습이다.

가장 강력한 MVP 후보는 일본 남자 수영의 간판으로 떠오른 하기노 고스케(20)다. 

하기노는 박태환(25·인천시청)과 쑨양(23·중국)의 2파전이 예상됐던 자유형 200m 금메달을 시작으로 개인혼영 200m와 400m, 계영 800m를 휩쓸었다. 자유형 400m 은메달과 배영 100m·200m 동메달 등을 포함해 총 7개의 메달을 목에 걸며 이 부문 1위를 달리고 있다. 

신장이 177㎝에 불과한 하기노는 개인혼영 200m(1분55초34)에서 아시아신기록을 수립하는 등 아시아기록 1개와 대회기록 3개를 갈아치웠다. 역대 4차례 수상자 중 수영 선수가 두 번 영예를 안았다는 점도 하기노의 수상을 점치게 하는 대목이다. 

중국 선수들의 도전도 거세다. 

여자 기계체조 야오진난(19)은 여자 마루와 이단평행봉, 개인종합, 단체전 금메달로 4관왕에 등극했다. 

남자 수영 4관왕을 차지한 닝제타오(21)도 수상 후보로 분류된다. 닝제타오는 폭발적인 스피드로 자유형 100m와 계영 400m에서 두 차례나 아시아신기록을 수립하며 수상의 발판을 마련했다.

다관왕이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수상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1998년 육상의 이토 고지(44·일본)와 2010년 배드민턴의 린단(31·중국)은 2개의 금메달만으로도 최고의 자리를 차지했다. 

육상 남자 100m 결승에서 9초93으로 7년 묵은 아시아기록을 갈아치운 페미 오구노데(23·카타르)는 의미있는 기록으로 수상에 도전한다. 남은 경기에서 추가 메달을 확보할 경우 충분히 MVP를 노려볼 만하다. 1998년 이토도 100m와 200m 금메달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하지만 오구노테의 경우 순수 아시아인이 아닌 나이지리아 출신이라는 단점을 안고 있다. 

중국에서 최고의 인기를 구가 중인 남자 배드민턴의 린단도 숨은 MVP 후보 중 한 명이다. 남자단식 결승에 오른 린단이 우승을 차지하면 남녀 통틀어 아시안게임 2연패를 달성한 첫 번째 선수가 된다. 

◇역대 삼성 MVP 어워드 수상자 명단 

▲1998방콕아시안게임- 이토 고지(일본·육상·금 2)
▲2002부산아시안게임- 기타지마 고스케(일본·수영·금 3)
▲2006도하아시안게임- 박태환(한국·수영·금3 은 1 동 3)
▲2010광저우아시안게임- 린단(중국·배드민턴·금 2)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