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8℃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9℃
  • 구름조금대전 21.7℃
  • 구름조금대구 22.5℃
  • 맑음울산 21.6℃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9.7℃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6.4℃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1.2℃
  • 맑음강진군 21.5℃
  • 맑음경주시 24.1℃
  • 맑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경제

비아그라보다 강력한 종근당 ‘야일라’

URL복사
비아그라 출시 이후 800억원대로 급성장한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은 시알리스 레비트라 자이데나 등 유사제품의 등장으로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종근당이 선보인 발기부전 치료제 ‘야일라(Yaila)'는 당뇨병과 고혈압 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도 발기유도 효과가 월등히 높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비아그라 반응 없던 환자 61.8% 만족
‘야일라’는 동서양의 경계지역인 크리미아(Crimea) 반도에 위치한 울창한 산림과 평화로운 목장이 많이 있는 산의 명칭이다. 산은 웅장하고 굳건한 남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산처럼 강력하고 효과가 높은 발기부전 치료제 이미지를 상징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회사측은 설명한다.
종근당은 야일라의 발매는 별도로 판매하며, 바이엘헬스케어는 종전대로 ‘레비트라’의 브랜드로 판매한다. 종근당은 이로써 바데나필 제제의 시장점유율을 전체 시장의 3분의 1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야일라(성분명:바데나필/ Vadenafil)는 발기를 억제하는 대표적인 효소인 PDE5에 대한 선택성이 타사 제품보다 가장 높다.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안전한 약제이며 음식물, 알코올과의 상호작용이 적어서 약제복용 후 자연스럽고 편안한 생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기 강직도가 강력해 부부 관계 시 여성 파트너의 만족도까지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자군(당뇨병, 고혈압, 척추손상 환자군) 내에서의 발기유도 효과가 타사 제품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경·중증도의 환자군은 물론 치료가 어려운 환자군에서도 뛰어난 효능을 보인 우수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환자들이 강력한 발기력을 더욱 선호하는 것은 당연지사. 다양한 국제임상에서 야일라의 강력한 발기효과는 증명됐다. 특히 지난해 9월 카이로에서 열린 제12차 ISSM(국제성약물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바데나필(야일라)과 실데나필(비아그라)의 임상결과, 바데나필을 선호한다고 대답한 사람이 38.9%로 실데나필(34.5%)보다 4% 정도 높게 나타났다. 발기시 강직도에 대한 선호도 역시 바데나필이 6.2%가 높은 53.1%로 나타났다. 삽입 성공률, 성관계 성공률 등 모두 실데나필에 비해 바데나필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또한 2004년 BJU(영국비뇨기학회지)에 소개된 실데나필에 반응이 없었던 남성환자 46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61.8%의 환자들이 바데나필 복용 후 발기력이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종근당 김정우 사장은 “야일라의 우수한 제품력에 종근당의 뛰어난 영업력이 더해져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야일라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며 “특히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노인이나 고혈압, 당뇨병 환자 등에게도 뛰어난 효능을 보여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종근당은 ‘야일라’를 한국인의 특성에 잘 맞는 강력한 발기효과를 강조하는 마케팅을 컨셉으로 내세워 발매 첫 해 9%의 시장점유율을 목표로 마케팅과 영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서울시, 참고서 구입비용 지원 학습격차 해소 나서 ” 고광민 서울시의원, 도서구입비 지원 조례안 발의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4년 우리나라 초·중·고 사교육비가 전년 대비 7.7% 증가해 약 29조 2천억 원에 달하면서,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서울 지역 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학생 기준 전국 평균 47만 4천 원을 크게 웃도는 67만 3천 원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은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 기준으로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78만 2천 원에 달하며, 고등학생의 경우 무려 102만 9천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서울 가정의 교육비 부담이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처럼 교육비 부담이 가중되는 현실 속에서, 서울특별시의회 고광민 의원(국민의힘, 서초구 제3선거구)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구입비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번 조례안은 학생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재, 참고서, 전자책 등 도서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여 학부모의 재정 부담을 해소하고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이번 조례안은 전국 최초로 도서구입비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온라인 특별전 ‘봉모(奉謨), 조선을 움직인 지혜의 이정표’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 장서각은 2025년 온라인 특별전 ‘봉모(奉謨), 조선을 움직인 지혜의 이정표’를 28일(월)부터 장서각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18년 특별전 ‘봉모, 오백 년 조선왕조의 지혜’에 소개됐던 유물을 새롭게 디지털화해 총 90건의 유물을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일반에 공개한다. 봉모당에 소장된 자료를 통해 조선의 국왕들이 후대에게 전하고자 했던 통치 철학과 교훈을 담은 전적(典籍)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봉모당’은 정조가 조부 영조의 정치적 지침과 교훈을 소중히 보관하기 위해 궁궐 안에 설치한 공간으로, 이후 역대 국왕의 어제(御製, 임금이 직접 지은 글)와 어필(御筆, 임금이 직접 쓴 글) 등을 수집하며 왕실의 전문 서고 역할을 하게 됐다. 현재 이 자료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존되어 있다. 장서각은 매년 온라인 전시를 개최해 귀중한 기록유산을 국민과 공유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봉모당에 소장된 주요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 국왕의 통치 철학과 지혜를 4개의 주제로 나누어 조명한다. 제Ⅰ부 「근학(勤學), 학문을 부지런히 함이라」에서는 국왕이 학문에 전념하고 경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