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6.1℃
  • 맑음강릉 23.3℃
  • 구름많음서울 24.7℃
  • 흐림대전 25.7℃
  • 맑음대구 22.4℃
  • 맑음울산 20.8℃
  • 구름많음광주 24.4℃
  • 맑음부산 20.9℃
  • 구름많음고창 24.0℃
  • 구름많음제주 24.3℃
  • 구름많음강화 21.3℃
  • 맑음보은 21.6℃
  • 구름많음금산 23.8℃
  • 구름많음강진군 22.4℃
  • 맑음경주시 22.5℃
  • 구름많음거제 20.1℃
기상청 제공

사회

[신년기획]새해엔 몸짱·금연…“재주 펼치고 과욕 삼가세요”

URL복사

“이젠 보내줄게, 살·담배”…“올해는 취업 좀 하자”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육십갑자(六十甲子) 중 서른셋째인 ‘붉은 원숭이의 해(丙申年·병신년)’가 왔다. 누구나 이맘때면 이루고 싶은 목표 하나쯤 정해 각오를 다진다.

로마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는 “새로운 시간 속에는 새로운 마음을 담아야 한다”고 했다. 사실 달이 바뀔 때나, 해가 바뀔 때나 달력 한 장 뜯는 건 매한가지지만 ‘새해’라는 단어가 주는 설렘은 감히 비교할 수 없다.

그렇다면 영원히 딱 한 번뿐일 2016년, 새로운 마음과 소망을 예쁘게 담아 성취해 보는 건 어떨까.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대문짝만하게 적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걸어두는 것도 좋겠다. 건강, 행복, 사랑, 재물, 화목, 건승…, 좋은 단어는 얼마든지 있다. 취직, 결혼, 승진, 다이어트, 금연, 여행, 독서, 제2외국어처럼 좀 더 구체적이면 더욱 좋다. 하나든, 열이든 개수도 상관없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이젠 보내줄게, 살·담배”…“올해는 취업 좀 하자”

“취직했어? 연봉은 얼마야? 00는 얼마 받는다던데” “결혼은 언제 할 것이야? 연애는 하니?” “살 좀 빼는 게 좋겠다. 올해엔 꼭 담배 끊기다” “공부는 잘하니? 반에서 몇 등이야? 대학은 어디 다녀? 00는 이번에 어느 대학 들어갔다며?”

명절마다 폭격 퍼붓듯 쏟아지는 잔소리들. 손아랫사람이라면 버럭 화라도 내보겠지만, 어른들에게는 차마 ‘보태준 것 있느냐’고 되묻지도 못해 속앓이만 하게 된다.

하지만 슬퍼할 필요도, 피할 필요도 없다. 지금은 ‘올해의 다짐’이 허락된 연초가 아니던가. 당연히 스트레스를 받는 대신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다.

2016년 새해 다짐을 묻는 어떤 조사에 따르면, 남성은 금연을, 여성은 다이어트를 1위로 꼽았다. 자기계발과 연애 또는 결혼, 여행 등은 순서만 약간 다를 뿐 공통적이었다.

새삼스러울 것 없다. 금연과 다이어트는 해마다 상위권에 오르는 단어다. 지난해, 지지난해에도 있었는데 올해 또 등장한 것은 생각하기는 쉬우나 실천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작심삼일이란 것이 무엇인지 실감하게 해 주는 못된 녀석들이다.

다만 꼭 금연하겠다고 다짐했다면 보건소 금연클리닉이나 금연상담전화 등의 도움을 받아볼 것을 권하고 싶다. 다이어트는 운동·식이조절 앱 등을 이용하거나 단기 목표를 설정해 스스로 보상하는 방식이 좋다고 하니 참고해 보자.

2040세대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은 ‘취업·이직’이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25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보면 대학생(81.4%)과 구직자(89.8%)는 물론 직장인(50.3%)까지 ‘취업·이직’을 새해 목표 1위로 꼽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78.9%, 30대 64.2%, 40대 이상 63.3%였다.

꿈·희망마저 포기해야 한다는 불쌍한 ‘N포 세대’야 그렇다 쳐도, 40대 이상까지 취업·이직을 꼽은 걸 보면 우리네 삶이 얼마나 팍팍해졌는지 실감할 수 있다.

2위는 다이어트·체력관리(43.8%)였다. 20대, 30대, 40대가 차례대로 49.7%, 41.7%, 22.6%씩 선택했다. 3위는 연애·결혼(37.4%)으로 나타났다. 20대의 37.4%, 30대의 31.3%가 응답했다.

◆‘토고납신’‘천세일시’ 하세요~

새해가 오면 으레 덕담 한마디씩 건네곤 한다. 어디 “부자 되세요~” 뿐이겠는가. 송구영신(送舊迎新·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 근하신년(謹賀新年·삼가 새해를 축하하다)은 너무 평범해 재미없다. 연초에 많이 사용되는 사자성어를 몇 개 골라봤다.

토고납신(吐故納新)은 묵은 것을 토해내고 새것을 들이마신다는 뜻으로, 낡고 좋지 않은 것을 버리고 새롭고 좋은 것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천세일시(千歲一時)는 ‘천 년의 한 때’다. 다시 맞이하기 어려운 아주 좋은 기회를 의미한다.

물실호기(勿失好機)는 결코 잃을 수 없는 절호의 기회, 또는 절호의 기회를 잃지 않는다는 의미다. 매화는 추운 겨울의 고통을 이겨낸 뒤에야 맑은 향을 발한다는 뜻의 매경한고 발청향(梅經寒苦 發淸香)은 힘겹게 삶을 지탱하는 이들에게 위로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정본청원(正本淸源)은 지난해 전국 교수들이 뽑은 희망의 사자성어다. 근본을 바로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는 의미다. 2014년에는 번뇌에서 벗어나 깨달음에 이른다는 뜻의 전미개오(轉迷開悟)가 꼽힌 바 있다. 2013년에는 제구포신(除舊布新·묵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펼친다)이었다.

그러니 한 해를 평가하는 사자성어였던 지난해 혼용무도(昏庸無道·세상이 어지럽고 도리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는다)와 2014년 지록위마(指鹿爲馬·윗사람을 농락해 권세를 휘두름), 2013년 도행역시(倒行逆施·순리를 거슬러 행동하다)는 이제 그만 버리자.

취업포털사이트 인크루트 조사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선택했다는 노이무공(勞而無功·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 역시 새해에는 바뀔 수 있다고 기대해 보자.

원숭이는 무릉도원에 사는 길상의 상징이라고 한다. 지략과 재주꾼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다만 욕심이 많고 성급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다.

마지막으로 독자에게 감히 새해 인사로 한 말씀 올리려 한다. “붉은 원숭이의 해인 올해, 모두 원숭이처럼 지혜롭고 영민하게 재주를 펼치되 과욕은 부리지 않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尹 파면 · 조기 대선 국면 부동산 향방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윤 정부가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사실상 전면 중단되면서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가 짙어졌다. 조기 대선 이후 주택 공급 정책과 기준금리·대출 규제에 대한 향배가 결정될 때까지는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尹 파면,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윤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사라지고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대부분 동력을 상실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기 대선 국면에 진입하면서 차기 대선 주자들의 부동산 정책도 대립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짙어질 전망이다. 주택공급 방안 관련 윤 정부 핵심 키워드는 ‘민간 주도’로 도심의 공급 물량 확대를 위해 정비사업을 위축시키는 규제를 풀고, ‘민간 주도’의 공급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주 골자였다. 윤 정부는 임기 내 전국 270만 호 주택 공급을 약속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성과가 없어 ‘공급 불안’ 우려가 큰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집값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부동산 정책 동력 자체가 떨어지면서 비상등이 켜졌다. 더욱이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

사회

더보기
2025 세계 기독교 부활절 연합예배…‘죄사함이 예수 부활의 참 의미’
[시사뉴스 장시목 기자] 한국기독교연합(KCA)가 주최하고 기독교지도자연합(CLF)이 주관하는 ‘2025 세계 기독교 부활절 연합예배’가 전국에서 2만여 명의 기독교인이 참석한 가운데 20일(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10홀에서 열렸다. 오전 6시와 10시, 오후 2시 세 차례 열린 이번 부활절 연합예배에서는 부활절 기념예배와 부활절 콘서트가 공연됐다. 부활절 설교는 기독교지도연연합(CLF) 설립자 박옥수 목사가 맡아 예수 부활의 참 의미를 전했고, 설교에 앞서 전국 부활절 연합 합창단이 부활절 기념 찬양을 했다. 부활절 예배에서 전국 부활절 연합 합창단이 부활절 기념 찬양을 했다. 사진 CLF 또한, ‘2025 세계 기독교 부활절 연합예배에는 키세베 아더 기통가(케냐, 기독교 대주교), 진 로플러(미국, 국제등대기도회협회 회장), 아드부따 쿠마르(인도, 바이블미션 총회장), 이발두 루이즈(포르투갈, 루지타나선교회 회장) 등 세계 각국 주요 교단의 목회자들이 온라인으로 부활절 메시지를 전했다. 키세베 아더 기통가(케냐, 기독교 대주교) 목사는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셔서 죽으시고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셨다. 여러분이 이 사실을 믿으면 영원히 천국에서 살

문화

더보기
【레저】 길 위의 풍경에 취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건강을 위해서, 역사적 공간을 체험하는 즐거움으로, 생각을 정리하고 지친 영혼을 위로받는 방법으로, 맨발로 땅을 밟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일체감을 느끼는 행위로 걷기가 다양한 수단으로 현대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공동체를 느끼며 아름다고 의미있는 공간을 걸어보고 싶다면 이곳을 추천한다. 잊고 지냈던 공간의 가치 제주도는 오는 4월26일 제주시 원도심 일대에서 ‘차 없는 거리 걷기’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제주시 연북로 걷기 행사에 이어 두 번째다. 행사는 ‘길 위에서 만나는 제주, 거리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변화’라는 주제 아래 원도심을 걸으며 잊고 지냈던 공간의 가치를 되새기고, 건강한 변화를 도모한다. 걷기 행사는 오전 9시 탑동광장을 출발해 서문로터리, 관덕정, 중앙로터리, 신한은행을 거쳐 12시 탐라문화광장에서 마무리할 예정이다. 행사 구간의 도로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전면통제한다. 응급상황 등을 대비해 비상차량 통행 차선을 확보한다. 행사 구간에서는 걷기와 함께 공연, 전시,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차 없는 도로 위에서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도로 위 스케치북’, ‘어린이 골목 놀이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