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정치

북한 비핵화·북미회담... 먹구름 가득

URL복사

CNBC, "북한, 중국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북미회담 발표했을 뿐, 정작 북한은 공식적으로 침묵했다"


[시사뉴스 원성훈 기자] 북한의 김정은이 중국을 방문해서 '한반도 비핵화를 약속했다'고 알려진 가운데, 미국 CNBC는 28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중국은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를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은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은 그 회담의 해석에 있어서 그 어떤 언급도 없었다(China said the North promises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 on the other hand, didn't mention anything about that in its readout of the talks.)"고 보도했다.


이 같은 보도에 따르면, 향후 북한의 비핵화 및 북미회담의 성사까지는 난기류가 흐를 전망이다.


CNBC의 이날 보도에는, 조슈아 폴락 몬트레이 국제 연구소 미들버리 연구소 수석 연구원이 "중국과 북한과의 회담 정보를 비교해보면, 북한 버젼에는 핵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 다시 한번 어안이 벙벙하다"(Comparing the Chinese and North Korean readouts of the meeting, I'm struck once again by the absence of any mention of the nuclear issue in the North Korean version)고 언급한 내용도 실려있다.


또한, 폴락은 "중국 버젼은, 김정은이 북한은 한반도의 비핵화를 약속했음을 재확인했다(The Chinese version says that Kim Jong Un reaffirmed North Korea's commitment to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며
"북한 버젼은, 중국 지도자들과의 교류 때문에 중국의 나머지 언급에 대해 확인하는데는 확실하게 실패했다(The North Korean version conspicuously fails to confirm this or any of the rest of the Chinese account of the leaders' exchanges)"고 언급했다.


폴락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이 중국의 입을 통해서' 북한의 비핵화와 북미회담을 약속한 것이지 '공식적으로는' 그 어떠한 약속도 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날 자신의 트윗에 "김정은이 무엇이 올바른 길인지를 알 좋은 기회(there is a good chance that Kim Jong Un will do what is right)"라며 "김정은은 나를 만날 것을 고대할 것(Kim looks forward to meeting me)"이라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김정은이 북한의 비핵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올바른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는 뜻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아울러, '북한은 비핵화라는 선물 보따리를 갖고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가이익연구센터 국방연구 이사인 해리 카쟈니스는 CNBC에 이렇게 말했다.


"세계가 물어야 할 핵심 질문은 이것이다: 김정은은 핵무기를 통해 무엇을 원하는가?"(The key question the world needs to ask is this: what does Kim Jong Un want for those nukes?)


이와 관련해, CNBC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용의가 있다면, 미국은 은둔의 국가(북한)에게 뭔가 큰 것을 주는 임무를 맡을 가능성이 높다"(if the North is willing to give up its nuclear weapons, the U.S. will most likely be tasked to give the reclusive state something big in return)고 예상했다.


미국은, '결국 북한은 핵무기를 포기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있으며 그것이 실제로 실행되었을 때, 북한에 대한 '보상'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 전시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은북(eeunbook)이 오는 2025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내에서 특별 전시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개관 기념 출판 지원을 받아 완성된 책 ‘10대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의 원화와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으며,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연계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마련됐다. 5월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달이다. 특히 올해 5월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과 ‘2025세계인권도시포럼’이 열리는 뜻깊은 달로, 이번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민주주의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도 이를 지켜내려는 세계 시민들의 용기와 연대의 모습을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만나볼 수 있다. 5월, 광주를 찾는다면 꼭 들러보자. 민주주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