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7.4℃
  • 맑음울산 12.9℃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4.7℃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국제

日, "尹대통령 리더십 환영...한일관계 극적 개선"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6일 한국이 강제징용 문제 해법을 제시한지 6개월이 된 가운데 한일 관계가 "극적으로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이날 "전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 소송, 원고 3분의 2 이상이 배상 받아…한국 해결책 발표부터 반년" 제하의 기사에서 이같이 전하고 "일본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리더십을 환영하고 있다. 관계를 한 층 강화하겠다는 생각이다"고 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은 지난 5일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와 관련 "관민 쌍방 폭 넓은 대화와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현재의 긍정적인 흐름을 보다 한 층 가속화시키고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요미우리는 마쓰노 관방장관의 이 발언에 주목하며 한일 간 셔틀외교가 강제징용 해결책 발표 후 12년 만에 부활했다고 짚었다. 지난 8월에는 한미일 3개국 정상회의가 국제회의장이 아닌 미국에서 열렸다며, 한일 관계 개선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도 연결됐다고 풀이했다.

특히 신문은 일본의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에 대해 한국이 사실상 용인 자세를 내세웠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일본 외무성의 한 간부는 신문에 "한국의 냉정한 대응은 중국과 대조적이다. (한국의 자세는) 국제사회의 이해를 얻는 데 매우 (영향이) 크다"고 밝혔다.

다만, 강제징용 문제의 "최종 결착까지는 시간이 걸릴 듯 하다"고 분석했다. 강제징용 해법에 따라 한국 재단에서 배상금 중 상당액을 받은 원고는 3분의 2를 넘었지만, 아직 일부는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법원이 브레이크를 거는 사법 판단을 하고 있는 점도 지연 이유로 꼽았다.

요미우리는 윤 대통령이 신임 대법원장 후보자로 보수계인 이균용(62)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명한 점에도 주목했다. "대법원장의 인선이 앞으로 사법 판단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