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탐사보도팀 강민재 기자]
‘일하는 국회’를 표방한 21대 국회의 국정감사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짧은 기간의 국감 동안 수많은 피감기관과 이슈가 다뤄지느라 그만큼 깊이 있는 국감이 어려웠다. 이에 <시사뉴스>에서는 국감을 앞두고 사전에 관련 이슈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수협의 해수부장관 보고 내용을 보면 이렇다.
사업부지는 서울시 동작구 구 노량진수산시장 이전지로 부지면적 48,223㎡다. 사업추진 경과를 보면 2019년 1월부터 현재까지 서울시와 개발계획(안)을 사전 협의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오는 8월 개발계획(안)을 서울시에 제출하고, 9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용도변경 등 도시관리계획 결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서울시 이야기는 다르다. 서울시 담당 주무관은 수협과 현재까지 어떠한 사전협의도 없었다는 입장이다. 다만, 서울시에서는 제일엔지니어링에서 이와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인 사실을 들은 바는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내용이 사실이라면 수협은 주무부처 장관에게 허위 또는 과장 보고를 한 셈이다. 또한 해수부는 정확한 사실 확인 없이 그러한 비공식 대면보고 자리를 만든 것이다.
당시 비공식 대면보고 자리에 참석했던 해양수산부 관계자에 따르면, 문 장관이 “잘 추진해 보라”고 격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 관계자는 문 장관의 이러한 격려는 의례적인 인사였다는 입장이다. 스스로도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을 의식하고 있는 셈이다.

수협중앙회 홍보팀은 본지의 취재요청에 처음에는 개발계획 자체가 없다고 부인으로 일관하다가 이후에는 아예 어떠한 연락도 하지 말라는 입장이다.
관련 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제일엔지니어링은 수협의 허락 없이는 내용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은 사실인 셈이다.
취재가 계속되자 홍보팀과는 달리 수협중앙회 노량진 개발 담당 팀장은 개발계획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아직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사안으로 대외적으로 발표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특히 수협중앙회 본점 노량진 이전설과 관련해서는 논란을 의식한 듯 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일사분란하게 움직여도 성공할지 모르는 ‘조’ 단위 개발계획에 같은 조직 내에서 홍보팀과 관련 부서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셈이다.
현재 무이자로 지원받은 공적자금 1조원대 상환을 미루고 있는 수협중앙회의 이후 노량진 프로젝트 추진 자금마련과 건물 용도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계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