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에 800여명 남아…수송·검역에 소홀함 없어야”
“지자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탄력적 조정해달라”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 중인 이라크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 근로자들을 국내로 특별수송할 방침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세에 있는 이라크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우리나라 근로자들에 대해 “조속한 귀국을 돕기 위해 이르면 내주부터 특별수송에 나서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외교부와 국토교통부는 우한과 이탈리아 교민 이송 경험을 거울삼아 수송과 검역, 격리, 치료 등 지원에 소홀함이 없도록 조치하라”고 주문했다.
그는 “최근 확진자 중 상당수는 우리 기업이 수주한 이라크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귀국한 근로자들이며, 현재 이라크는 매일 2천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올 정도로 코로나19의 기세가 맹렬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익을 위해 가족과 떨어져 일하면서 감염병 위협에까지 노출된 우리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아울러 “2주 전,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지역별로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며 “광주와 전남에서 적극적 단계 격상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세를 제압하는 성과도 있었지만, 실제 지자체가 단계조정을 자신 있게 판단할 수 있는 세부기준이 명확치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각 지자체는 제시된 기준안을 참고해 필요시 지역별 확산 상황에 맞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면서 대처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정 총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우울증, 불면, 공황장애 등 이른바 ‘코로나 블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그동안 추진해온 대책을 다시 한 번 점검해 보고, 보완할 점은 없는지 검토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