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해철 "수차례 한국 오겠다는 의사를 사전에 확인"
2018년 11월 아내와 잠적, 행방 묘연해 국제적 관심
하태경 "지난해 7월 입국"…21년 만에 최고위급 망명
2011년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재외공관장 첫 탈북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전해철 국회 정보위원장은 7일 북한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가 지난해 7월 국내에 입국한 것을 공식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 전 대사대리는 한국에 오겠다는 의사를 수차례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전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 전 대사대리가 지난해 7월 자진해서 한국에 왔다"며 "수차례 한국으로 오겠다는 의사를 사전에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본인이 알려지길 원하지 않고 있다"며 "가족이 북한에 있는데 이렇게 알려지다 보니 상태가 너무 안 좋은 것 같다"고 전했다.
전 위원장은 잠적 후 한국행까지 오래 걸린 이유, 망명 경로, 연구소에서 일한다는 보도 등에 대해서는 "밝히기 어렵다"며 "본인이 알려지는 것을 싫어한다"고 답했다.
앞서 6일 지난 2018년 11월 로마에서 잠적한 북한의 조성길 전 이탈리아 주재 대사대리가 지난해 7월 국내로 입국해 정착한 사실이 밝혀졌다.
대사급 인사가 탈북한 것은 1997년 장승길 주이집트 북한 대사가 미국으로 망명한 후 21년 만이다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 등 4개 국어에 능통한 조 전 대사대리는 외교관 출신으로 지난 2017년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 후 이탈리아 정부가 문정남 당시 주이탈리아 북한대사를 추방하면서 대사직을 대리했다.
북한은 식량지원을 다루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본부가 있는 이탈리아를 중요한 대사관으로 여기고 주로 엘리트들만 배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대사대시는 임기 만료를 앞둔 2018년 11월 아내와 함께 잠적했다. 이후 조 전 대사대리는 미국 등 서방국가의 보호를 받고 있을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구체적인 행방이 묘연했다. 이후 지난해 2월에는 이탈리아 외교부가 조 전 대사대리의 미성년 딸이 북한으로 송환된 사실을 공식 확인해 파문이 일었다.
앞서 고영환(1991년, 콩고대사관 1등 서기관), 현성일(1996년, 잠비아대사관 3등 서기관), 태영호(2016년, 영국 대사관 공사) 등 북한 외교관이 한국으로 망명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보다는 직급이 높으며, 태 의원은 조 전 대사대리에게 공개적으로 한국행을 권유하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