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 "바이든 한반도 정책, 우리와 다르지 않아"
국민의힘 "혈맹 우선 새겨들으라…文정부 차이"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여야는 12일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간 첫 통화가 이뤄진 데 대해 일제히 환영을 표했다. 하지만 바이든 신(新)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방향 등에 대해선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양국 정상 통화에 대해 "한미동맹과 북핵문제 그리고 코로나19의 상황과 기후변화 대응 등 세계적 도전과제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견을 공유했다"며 "또한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 후 빠른 시일 내에 정상 간 회담을 약속했다"고 열거했다.
그러면서 "이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새로운 분기점을 맞이하고 있다. 원칙에 입각한 외교,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지지하는 바이든 당선자의 외교 정책 기조는 우리의 정책 기조와 다르지 않는다"며 "이 시기 한미의 긴밀한 협력으로 북미 간, 남북 간의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대변인은 "민주당은 정부와 함께 긴밀한 외교에 힘을 쏟겠다.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며 "바이든 당선인이 강조하는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등에도 협력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배준영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오늘 바이든 당선인의 대화 중에 새겨야 할 키워드들이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번영에 있어 핵심 축(린치 핀)'이라는 것"이라며 "한미동맹이 굳건하려면 혈맹이라는 인연을 소중히 하면서 좌고우면하거나 치우지지 말라는 메시지"라고 지적했다.
배 대변인은 정상간 통화의 '북핵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는 대목에 대해서도 "정부가 늘 주장하는 한반도의 비핵화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북핵 해결은 논의의 출발점이지, 논의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미국은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다시 가입하며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리더로 역할을 시작할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2050 탄소중립을 말하면서도 화력발전이 폭발적으로 늘어 기후악당으로 손가락질 받고 있다"며 "원전 폐기와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손발을 맞추려면 많은 고민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당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 후 양 정상이 조속히 만나 대화의 기회를 갖기로 의견을 함께한 것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지속을 위해 일정하게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